□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이하 ‘범부처 사업’)’의 ’23년도 신규과제(6개) 연구기관 선정결과와 함께 리빙랩(Living Lab)

    조성을 통한 자율주행 기술 실증계획을 밝혔다.


 ㅇ 범부처 사업은 ’21년에 착수한 1.1조 원 규모의 다부처(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 연구개발 사업으로, 차량·부품 등 기반기술은 물론, 인프라, 법·제도,

     서비스 등 ’27년 융합형 레벨(Lv.) 4/4+* 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 융합형 Lv.4+: Lv.4는 특정 구간에서 제어권 전환(자동차→운전자) 없이 운행이 가능한 자율주행, Lv.4+는 

     Lv.4 수준의 자율주행은 물론 ’차량-인프라 연계’를 통해 공공 자율주행 서비스가 가능한 융합형 자율주행을

    의미


 ㅇ 범부처 사업(총 88개 과제) 내 국토부 소관 과제는 총 22개로 구성되어 ’21년부터 16개 과제

     (’21년 13개, ’22년 3개)가 추진 중이며, ’23년부터는 ‘자율주행 리빙랩’ 과제를 포함한 6개 

     과제를 시작한다.


 ㅇ 특히, 리빙랩 연구과제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수요응답 미니셔틀 등 그간 범부처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서비스를 종합적으로 통합 실증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로서, ’23.4월부터 

     ’27년까지 총 45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 그동안 국내에서는 K-City, C-Track 등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신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시범운행지구로 선정된 지자체 일부 구간에서만 화물·여객 운송 등 자율주행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실증되어 왔다.

자율주행이 일상이 되는 도시가 현실로


- 각종 자율주행 기술을 도시 단위로 통합 실증하는

리빙랩 포함 6개 R&D 신규과제 착수

- 1,000억 원 이상 예산이 투입되는 리빙랩 도시 9월 공모 예정


다  음

메인으로

이  전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