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밀도로지도, 일반국도까지 지원 


-  전국의 고속국도·일반국도에 자율주행용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 구축된 정밀도로지도는 누구나 무상으로 이용 가능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조우석)은 전국의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의 구축을 완료*하고 플랫폼 서비스 준비기간을 거쳐

    4월 27일부터 기업 및 국민에게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 고속국도 5,858km 구축 완료('19년), 일반국도 16,820km 구축 완료('22년)


 ㅇ 이를 통해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를 이용하는 자율주행차의 안전도를 향상시켜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토정보플랫폼(http://map.ngii.go.kr)에서 누구나 무상으로 이용 가능


□ 정밀도로지도는 차선, 표지, 도로시설 등을 도로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한 고정밀 전자지도로서,

    차선 단위의 차량위치 결정이 가능하여 자율주행을 지원하도록 제작된 지도이다.


 ㅇ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고정밀 내비게이션, ADAS* 등에 활용 가능하며, 도로 시설물 관리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차량이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하는 전자 제어 시스템


 ** 세부 활용사례는 [붙임2] 정밀도로지도 활용사례 참조


 ㅇ 또한 구축 성과의 활용성 확대를 위해 구축된 정밀도로지도가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자료 구조 개선(Open Drive format*) 하였으며, 판교 자율주행 시범지구 일부

     구간에 대해 제공할 예정이다.


  * Open Drive format :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로 자율주행을 위한 시뮬레이션,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관제

    등에 활용


□ 정부는 ’27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일정에 맞추어 도심 및 주요도로를 대상으로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완료할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ㅇ 올해부터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등)의 특별광역시도 및 지방도(4차로 이상) 구축을 

     시작으로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등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제작할 예정이다.


다  음

메인으로

이  전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