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이번에 조성되는 자율주행 리빙랩에서는 실증지역을 도시 단위로 크게 확장하여 자율주행 

     핵심기술·인프라·공공 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실증하는 등 시민들에게 다양한 체험기회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통해 범부처 사업과정에서 개발한 성과물의 실효성과 사업화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도 이루어질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는 연구착수 후 6개월 동안 리빙랩을 조성하기에 적합한 도시 조건, 대상 도시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 실증 방법론 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23년 9월 공모를 통해 대상

    도시를 선정할 예정이다.


 ㅇ 특히, 리빙랩으로 선정된 도시에는 연구 성과물뿐만 아니라,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자율주행 

     중소·새싹기업들의 기술과 서비스도 자유롭게 도입될 수 있도록 개방형 리빙랩 실증도 추진할

     계획으로,


 ㅇ 해당 도시는 향후 국내 자율주행 상용화와 활성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자율주행 

     선도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한편, 국토교통부는 리빙랩 과제 이외에도 차세대 자율주행모빌리티센터 운영 플랫폼* 개발,'        메타버스 기반 가상시험환경** 구축, 공공 서비스(도시환경관리, 긴급차량 통행지원) 등

     과제도 동시에 추진한다.


  * 리빙랩 운영의 필수 구성요소로서, 운행 차량 및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등을 수행

 ** 리빙랩 실증 이전 현실에서 시험하기 어려운 다양한 가상 시나리오 환경에서 ①자율주행 AI 학습데이터

    공유, ②자율차 성능 검증, ③자율차 평가/인증 등을 수행


□ 국토교통부는 이번 리빙랩 과제 등을 통해 자율주행 모빌리티 시장의 확산 및 활성화를

    도모하고,


 ㅇ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민들의 일상 교통수단의 하나로 제공하여 자율주행에 대한 국민적

     수용성도 높아지는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  음

메인으로

이  전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