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다  음



  장기간의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인하여 우리 국민들은 지난 3여 년간 폐쇄적인 방역환경에 갇혀 

있었지만 스타트업의 전략과 사업화에 피봇팅의 영향에 따라 사업의 성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상식적인 환경하에서는 경제 주체들간의 격리로 인하여 기업들 특히 스타트업의 성과가 상당히 

위축될 것으로 예측이 되었는데 스타트업의 업종이나 사업화에 대한 전략 및 사업모델의 피봇팅

(Pivoting)으로 인하여 스타트업의 성과는 오히려 예상치보다 상승한 사례가 많아졌다. 특히 비대면

패러다임이 사회 양극화, 특히 3대 양극화(디지털 양극화, 지역 양극화, 기업 양극화) 현상을 촉발

시키면서 한국사회는 사업환경에서도 다양한 도전과 성장의 모멘텀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코로나 디바이드 (Corona Divide)현상은 아래와 같이 물류분야 스타트업의 사업화 환경과 비대면

사업의 데이터를 통한 사업화의 방향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림 1] 코로나 이후의 물류 데이터의 변화


   상기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류시장 전체의 통계데이터는 코로나 시대를 지나면서 

격동기를 맞이하고 있다. 물류분야의 매출의 변화는 과거 10여년전보다 25% 이상 증가하였으며, 

물류산업의 종사자는 35%이상 증가하였다.


메인으로

<기고문> 

인구감소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물류스타트업의 사업화 미래전략

지상철 교수 (고려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이  전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리더에서는 canvas 태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